전국 농어촌 민박 지도 정보
지방행정인허가 데이터개방 '지방행정인허가 데이터개방',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3 / 2024-11-30 13:51:48
조선 후기의 선배 화가인 심사정(沈師正)과 이방운(李昉運)의 화풍을 따른 것이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도홍계촌 : 유한지(1760~1834)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덕휘(德輝), 호는 기원(綺園). 유한준(兪漢雋)의 육촌동생으로 영춘현감(永春縣監)을 지냈다. 전서와 예서를 잘 써서 일대에 이름이 높았다. 신위...
산나드리(2025-04-23 20:11:00)
공유해드리고 싶었는데요 제가 이번에 다녀온곳은 선우고택 이라는 곳입니다 선우고택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비룡로 981-1 한옥좌측 저는 평소 한옥에서 하루...주시더라구요 저도 여러 한옥을 보다 그 중에서도 여기가 가장 마음에 들고 후기도 좋아 방문을 하게 되었는데요 ㅎㅎ 직접 방문해보니 사진보다 더 깔끔...
몽모의 하루기록(2024-10-15 18:00:00)
소현고택 그래도 실내에서 맛있는 음식 먹으면서 눈 내리는 거 보니까 또 금새 기분이 좋긴 좋드라구여 먹으면서는 ‘아 우리 나갈땐 눈 그쳤으면 좋겠다’ 라는...촬영지로 여전히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곳 같았다 선우를 찍어주는 나를 찍는 선우.. 비율 실화냐?ㅠㅠ 내가봐도 레전드네 ㅋㅋ Previous image...
s_hine__zyy(2024-02-07 01:40:00)
다녀온 후기를 남겨봅니다. 외부모습 못생긴 해태가 지키는 한옥건물과 기와지붕 1층짜리 건물로 머리에는 기와지붕을 쓰고 있는 스타벅스 대릉원점은 이 곳 경주의 분위기를 제대로 입힌 모습입니다. 지붕이 2중으로 씌워져 있어서 단조로우 느낌은 아니고 조금 화려한 듯한 모습이었어요. (하긴 우리나라의 한옥이...
지구정복(2024-02-16 07:01:00)
시동-고택일 2020년 사냥의시간-상수 2020년 다만악에서구하소서-유이 2021년 기적-정준경 2021년 언프레임드프로젝트 2022년 일장춘몽-검객 2022년 헤어질결심-홍산오 2023년 밀수-장도리 2023년 천박사퇴마연구소설경의비밀-선녀무당 2023년 1승-강정원 미정 하얼빈-우덕순 미정 너와나 미정 전란-종려 드라마 2011년...
펼쳐지는꿈(2023-11-21 13:18:00)
콘서트 후기 먼저 올리려고 했는데 이거 먼저 올린다!! 오랜만에 제출하는 블로그입니다 결제부탁드려요 이웃님들!! 재미는 기대하지 말아주세요 교수님 찬쓰로 오사카 교대에서 학술 교류 온 친구들과 저녁 만찬했다 체육과는 이런 특혜?비리? 가 참 좋은 것 같다 어쩔땐 교수님이 개꼰대 같아서 빡치지만 그래서...
Highway to hell(2023-11-03 01:39:00)
이태준 고택(수연산방) 옆. ○ 성신여자대학교 박물관 *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 보물. 조선. 목판본. ○ 고려대 박물관 * 동궐도(東闕圖)★★ : 국보. 조선 후기의 도화서 화원들이 동궐인 창덕궁과 창경궁의 전각 및 궁궐 전경을 부감법으로 그린 2점의 16폭 궁궐 배치도. * 분청사기 인화국화문 태항아리(粉靑...
흐르는 강물처럼, 떠가는 구름처럼(2023-07-04 07:58:00)
조선후기 학자며 서화가인 김정희 선생이 태어난 곳으로 추사의 증조부 월성위 김한신이 영조의 따님 화순옹주와 혼인하며 지어졌다고 한다. 건축 당시는 53칸...가을 하늘과 붉게 물든 단풍도 아름답지만, 주렁주렁 달린 감이나 모과는 고택의 여유로움을 더했다. 윗쪽에는 김정희가 세상을 떠난 뒤 아들 김상무가 세운...
인사동 사람들(2022-10-23 20:17:23)
산행후기. ※ 흑석고개-배해삼거리-양갈배기(5번국도). 7km. 10 : 38/40. 흑석고개(조개재.10번군도) .영주시 이산면 .우측 절개지 배수로 따라 오름. 10 : 49. 흑석사 갈림길. 묘 우측으로 내려선 안부엔 명학산 제비봉 이정표.길 좋아짐. 10 : 55. Y 갈림길. 돗밤실 둘레길은 우측 이산으로 가고 맥은 좌측으로 내려감...
산경표를 따라서(2011-09-28 22:52:00)
추사고택을 벗어나면 멀리 서쪽에서 가야산(伽倻山·678m)이 부른다. 백두대간의 속리산(1,058m)에서 뻗어나와 금강 이북 지방의 울타리 역할을 하는 금북정맥이 서해로 빠져 세력을 다하기 전에 남은 힘을 쏟아 예산과 서산 사이에 빚은 산이 바로 가야산이다. 비록 600m급의 산일 뿐이지만, 서해 가까운 내포평야에...
시솔길을 함께 걸어보실까요?(2008-02-11 23:51:5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